728x90

Kubenetes 2

Kubenetes 정리#3(helm)

-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을 구성하는 도커와 쿠버네티스에 대해 알아보았다. 새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으 쿠버네티스에서 사용하는 과정은 docker build -> docker push -> kubectl create -> kubectl expose 이다. 이러한 과정을 흔히 파이프라인(Pipeline)이라고 한다. 대부분의 IT작업은 파이프라인 자동화를 시켜 진행한다. - 자동화는 흔히 CI/CD 두 가지로 정의 된다. 간단히 설명하면 CI는 빌드/테스트 자동화 과정이고, CD는 배포 자동화 과정이다. CI를 마친 어플리케이션은 신뢰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CD는 CI과정을 거친 어플리 케이션을 실제 사용하는 환경에 자동으로 배포하는것을 말한다. - CI/CD를 컨테이너 인프라 관점에서 보자면, 개발자가 소..

Kubenetes 2022.09.29

Kubenetes 정리#2(k8s)

- 앞에서 도커에 대한 간략한 정리를 했으니 쿠버네티스가 무엇인지 알아보자. 쿠버네티스(kubenetes, k8s)는 컨테이너화된 앱의 작업을 자동화하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오픈소스 플랫폼이다.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확장하는 데 수동 프로세스가 필요하지 않다. 즉, Linux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호스트 그룹을 함께 클러스터링할 수 있으며 쿠버네티스를 통해 이러한 클러스터를 쉽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. 클러스터는 퍼블릭 클라우드, 프라이빗 클라우드 또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체로 호스트를 확장할 수 있다. 이러한 이유로 쿠버네티스는 Apache Kafka를 통한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과 같이 신속한 확장을 요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호스팅하는 데 이상적인 플랫폼이다. -..

Kubenetes 2022.09.2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