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etwork

스위치

PON_Z 2025. 1. 10. 20:21

- 백본스위치(Backbone switch) 개념

 - 네트워크의 중심. 방화벽, 워크그룹 스위치, 각종 서버가 접속하는 핵심영역으로,

   많은 트래픽을 처리해야 해서 고가용성, 고성능, 고확장성이 확보되는 기가급 장비를 많이 사용한다.
   이 장비의 성능이 안 좋으면 이곳에서 병목(bottleneck)이 걸릴 가능성이 많다.

 - 주로 L3스위치가 백본스위치 역할을 한다.

   스위치를 그리지 않고 선으로만 표시하기도 한다.

   (L3스위치는 처리속도가 빠르고, 데이터변환(LAN->WAN)을 할 필요가 없다.)

 

 

 

- Layer 스위치

 

 

 

 

L2 스위치

 - L2 주소는 MAC 주소를 뜻합니다. 

   L2 스위치의 역할은 MAC주소를 보고 어떤 포트로 보낼것인지 컨트롤(스위칭)하는 장비를 말합니다.

  스위치는 MAC 테이블을 가지고 있어서 이것을 기준으로 패킷을 해당 포트로 전달합니다.

 

L3 스위치 (라우팅)

 - L3 주소는 IP를 뜻합니다.

   즉, A라는 IP는 A'라는 곳으로 보내고 B라는 IP는 B'로 보내고...이런것을 라우팅 이라고 합니다.

   L3 스위치(라우터 포함)은 로드밸런싱을 할수 있습니다.

 

 * 로드밸런싱 - 네트워크 부하 분산

 - 클러스트의 한 종류이며, 1대의 서버 시스템에 대규모로 들어오는 요청(데이터,패킷)을 여러 대의 서버로 분산 처리하여 서버부하, 트래  픽증가, 접속속도 저하 등의 단일 서버로 인하여 발생 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 부하 분산 서비스입니다.

 일반적으로 은행 잔고와 같이 동기화 시간에 민간한 부분은 로드밸런싱을 쓰지 않습니다..

 로드 밸런싱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용 스토리지가 있으면 클러스터링이라고 합니다.

 

 

L4 스위치

- L4 주소는 포트번호를 뜻합니다.

  포트번호는 web 80번, ftp 20/21번, telnet 23번... 이런것을 뜻합니다.

  L4 스위치는 L4 주소를 가지고 스위칭을 하는 장비입니다.

  똑같은 IP에 대하여 포트번호가 다를 경우 다른 서버로 보낼수 있습니다.

 

L7 스위치

 - L7은 어플리케이션 영역입니다.

  우리가 쉽게 알수 있는 L7 주소로는 url을 예로 들수 있습니다.

  L4 스위치와 마찬가지로 L7 스위치도 로드밸런싱이 가능합니다.

 

L7 스위치가 L4, L3, L2 기능을 다 할수가 있습니다

 

 

cf) https://sangbeomkim.tistory.com/194

 

백본스위치란?

● 백본스위치(Backbone switch) 개념 - 네트워크의 중심. 방화벽, 워크그룹 스위치, 각종 서버가 접속하는 핵심영역으로, 많은 트래픽을 처리해야 해서 고가용성, 고성능, 고확장성이 확보되는 기가

sangbeomkim.tistory.com

 

 

https://inpa.tistory.com/entry/WEB-%F0%9F%8C%90-NAT-%EB%9E%80-%EB%AC%B4%EC%97%87%EC%9D%B8%EA%B0%80

 

🌐 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 이란 무엇인가?

NAT (Network Address Translation) 개념 네트워크 주소 변환(network address translation, 줄여서 NAT)은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쓰이는 용어로서, IP패킷의 TCP/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

inpa.tistory.com

 

https://m.blog.naver.com/naburu/223062369545

728x90
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네트워크 진단 #1  (0) 2024.07.03